-

제주도 용오름 현상이 이슈가 되고 있다. 기상청은 15분 가량 제주도 서귀포 남쪽 해상에서 용오름 현상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용오름 현상은 울릉도와 제주도에서 비교적 자주 목격되고 있다. 용오름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한다

 제주 용오름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용오름 현상이 나타나 화제입니다. 5일 기상청은 오전 9시 50분쯤 제주도 서귀포 남쪽 해상에서 용오름 현상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나타난 용오름은 15분가량 지속됐습니다. 

 


용오름은 육지나 바다에서 일어나는 강한 바람의 소용돌이로 기둥 모양이나 깔때기 모양의 구름이 지면 또는 해면까지 닿아있는 현상을 뜻한다. 미국의 토네이도와 비슷한 원리로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바다 위에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내륙에서 생기기도 한다.

 


기상청은 “이날 용오름 현상이 북서쪽에서 발달한 대륙고기압이 확장해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북서풍이 매우 강하게 유입됬다”“제주도에서 한라산이 바람막이 역할을 하면서 남쪽으로 갈라져 내려간 공기와 기존 공기가 서귀포 남쪽 해상에서 마주치면서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기상청은 “이번 용오름으로 인한 피해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현상에 누리꾼들은 “화산폭발 징조가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용오름 현상이 온라인 포털을 빠르게 강타하고 있습니다. 기상청이 5일 오전 9시 50분부터 15분가량 제주도 서귀포 남쪽 해상에서 용오름 현상이 나타났다고 밝혀 화제가 되고 있는 것입니다. 

 


용오름이란 격심한 회오리바람을 동반하는 기둥 모양 또는 깔때기 모양의 구름이 적란운 밑에서 지면 또는 해면까지 닿아있는 현상을 뜻합니다. 육지에서 발생하는 용오름을 'landspout'나 'tornado', 해상에서 발생하는 용오름은 'waterspout'라고 구분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와 제주도에서 비교적 자주 목격되고 있습니다.

 


이에 과거 용오름으로 인한 피해사례도 다시금 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용오름 현상과 관련, 기상청은 “북서풍이 매우 강하게 유입된 데다 풍하측(바람이 불어가는 쪽)인 남부에서 일종의 바람막이 역할을 한 한라산을 공기가 돌아들어 가면서 국지적으로 수렴해 용오름이 발생했다”고 파악했습니다. 기상청 관계자는 그러면서 "이번 용오름 현상에 따른 피해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주로 태풍과 관련이 있는 용오름(waterspout)은 물에서 발생하는 토네이도 입니다. 일반적인 토네이도가 먼지나 잔해물을 빨아들이는 것과 달리, 용오름은 물을 빨아들이지만 용 깔대기형 구름을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육지에서도 용오름 현상은 발견된 바 있습니다.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에선 지난 8월 11일 용오름 현상이 관측됐습니다. 우리나라 내륙에서 용오름이 발생한 것은 극히 이례적입니다.이날 낮 12시 15분부터 10여 분간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내륙에서 용오름이 목격됐습니다.

 


용오름 현상을 촬영한 A씨는 "하늘에서 지표면 중간까지 용오름이 생겨 움직이더니 점점 길어지다가 이내 사라졌다"라며 "용오름을 처음 봤는데 무척 신기했다"라고 전했습니다. 이 용오름은 10여 분만에 소멸됐으며, 별다른 시설물 피해는 없었습니다.

 


우리나라 내륙에서 용오름이 발생한 것은 극히 이례적인 현상입니다. 울릉도 주변 등 바다에서는 몇 차례 관측된 적이 있습니다. 

 


바다에서 주로 나타나는 용오름은 2014년 6월 경기 고양시에서 발생해 30여 분간 비닐하우스 등 3만 2천340㎡ 규모의 시설물 등에 피해를 낸 뒤 소멸된 바 있습니다.당시 용오름 현상 때문에 인근을 지나던 80대 노인인 날아온 파이프에 맞아 다쳤고, 경운기가 논바닥에 처박히는 일도 발생했습니다. 또 화훼용 비닐하우스 21개동이 무너지고 인근 전선을 덮치면서 29가구가 정전됐습니다.

  


용오름은 토네이도의 우리말 단어로 마치 이무기가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이라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일본에서도 비슷한 발상의 표현으로 타츠마키(たつまき)가 있습니다.

 


대중적으로는 용오름이 바다에서 발생하는 현상, 즉 Water Spout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국어사전에는 '육지나 바다에서 일어나는 강한 바람의 소용돌이'라 명시되어 있습니다. 한 마디로 Land Spout까지 아우르는 표현입니다. 이는 대한민국에서는 내륙보다 바다에서 관측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참고로 기상청 홈페이지에서는 용오름을 육지와 바다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저기압성 소용돌이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용오름은  지름이 수∼수백 m의 강력한 저기압성 소용돌이로 적란운의 바닥에서 지상까지 좁은 깔때기 모양을 이룹니다. 구름 아래의 지표면으로부터 모래먼지 및 지상 물체의 파편, 수면의 물방울 등을 말아 올립니다. 지표 물체의 파괴 상태를 보고 추정할 수 있는 용오름 속의 풍속은 100 ㎧ 이상인 경우도 있고, 상승기류의 속도도 40∼90 ㎧ 정도나 됩니다. 용오름의 이동속도는 대개 40∼70 ㎞/hr 정도입니다. 미국에서는 육지에서 발생되는 용오름을 토네이도, 해상에서 발생되는 용오름을 워터스파우트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용오름 현상 자체는 지형적 영향과 대기 불안정이 유발하는데 한국은 미국과는 달리 지형적 영향도 미미하고, 대기도 비교적 안정적인 지역이라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설령 발생하더라도 강력한 토네이도가 되지는 못한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2014년까지 공식적으로 등재된 토네이도는 총 7회로 5년에 한 번 빈도로 관측된다고 합니다. 다만 공식 등재기준이 기상청에서 직접 확인하고 촬영이라 실제로 등재되지 않은 사례도 있습니다


더 많은 분이 이 글을 보실 수 있도록 "공감"  ♥ 한 번씩 눌러주세요. 

로그인도 필요 없습니다. 


꼭 한 번만   "공감" 눌러주세요 +_+

감사합니다.  ^.^ 


'정치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션열기▼  (0) 2017.12.07
세가와 병▼  (0) 2017.12.06
양양 산불  (0) 2017.12.04
금리인상▼  (0) 2017.11.30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0) 2017.11.30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