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출처-네이버지식리스트-


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Android)는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구글에서 제작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의 운영체제와 미들웨어 및 중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체계에 대해 리눅스 커널의 제너럴 퍼블릭 라이선스(GPL)를 따르고 있으며, 새로운 체계의 버전 공개와 동시에 소스를 공개하고 있다.

2016년 현재 안드로이드는 세계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오픈소스 플랫폼이며, 세계 최다의 사용자를 보유한 모바일 플랫폼의 운영체계이다. 

구글(Google)이 2007년 11월 모바일(스마트 폰) 시장 진입을 위해 공개한 리눅스기반의 개방형 운영체제(플랫폼)를 말한다. 안드로이드는 원래 인간의 모습을 한 로봇을 일컫는 말로 모바일을 위한 운영체제와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PC로 치자면 Windows에 해당된다. 단말기 제조사나 외부 SW업체, 이통사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플랫폼을 채용한 단말기를 ‘안드로이드폰’이라 부른다. 또한 애플의 아이폰과 앱스토어를 본따 안드로이드폰용 소프트웨어의 거래장터인 안드로이드 마켓도 개설했다.

세계 각국의 이동통신 관련 회사 연합체인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Open Handset Alliance)'가 2007년 11월에 공개하였다. 실질적으로는 세계적 검색엔진 업체인 구글(Google)사가 작은 회사인 안드로이드사를 인수하여 개발하였으며, 따라서 '구글 안드로이드'라고도 한다.

안드로이드는 리눅스(Linux) 2.6 커널을 기반으로 강력한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와 포괄적 라이브러리 세트, 풍부한 멀티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한다.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인 '윈도'에 비유할 수 있는데, 휴대폰에 안드로이드를 탑재하여 인터넷과 메신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 가전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연동성도 갖추고 있다.

안드로이드가 다른 휴대폰 운영체제인 애플의 'iOS',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모바일', 노키아의 '심비안'과 차별화되는 것은 완전 개방형 플랫폼이라는 점이다. 종전에는 휴대폰 제조업체와 서비스업체마다 운영체제가 달라 개별적으로 응용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였다.

이에 비하여 안드로이드는 기반 기술인 '소스 코드'를 모두 공개함으로써 누구라도 이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와 기기를 만들어 판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자들은 이를 확장, 대체 또는 재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풍부하고 통합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휴대폰 단말기를 안드로이드폰이라고 하며, 이 플랫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거래하는 온라인 공간을 '안드로이드 마켓'이라고 한다.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은 모토로라의 안드로이드폰 '드로이드(Droid)'를 2009년 최고의 디지털 기기로 선정하였다. 한국에서 처음 선보인 안드로이드폰은 2010년 1월에 출시된 모토로라의 '모토로이(Motoroi)'이다.


커널부터 시작해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툴)까지 몽땅 다 공짜로 풀려 있으며,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실제 폰과 비슷한 환경에서 돌려볼 수 있는 에뮬레이터(AVD - Android Virtual Device)도 당연히 공개되어 있다.[1] 자신이 타겟 플랫폼의 H/W 구조를 다 이해하고 있고 관련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개발툴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원한다면 안드로이드를 포팅 가능한 핸드폰을 한 대 구입해서 내부를 통째로 뜯어고쳐 완벽하게 자신만의 단말기를 만들어 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스마트폰 이전의 일반 피처폰들은 안드로이드의 커널을 구성하는 리눅스 커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하드웨어 사양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안드로이드 구동은 어렵다[2].

오픈소스로 풀어버린 만큼 많은 제조사들에 의해 오만가지 기종이 다 나왔으며 그덕분에 시장 점유율이 높은 편이다. 한 예로, 2013년 2분기에는 시장 점유율이 81%로, iOS(14.2%)를 큰 격차로 따돌렸다. 이미 명실상부한 시장지배적인 모바일 OS의 위치에 올라섰다. 구글 코리아가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현재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수는 10억명 정도라고. 전체 인구 7분의 1이 안드로이드를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ARM 프로세서로 포팅되어 있으며, MIPS, Power Architecture, x86_64로도 포팅이 되어 있다. 지원하는 언어는 커널 쪽은 C, 몇몇 라이브러리는 C++, 그리고 UI 및 응용 소프트웨어는 Java로 되어있다. 가상 머신은 Java VM이 아니라 구글에서 자체 개발한 Dalvik VM을 사용한다.[3] 이후 안드로이드 4.4 킷캣부터는 ART가 개발자용으로 처음 도입되었다[4].ART 설명 AOSP 4.4 ART 기본값 기사 안드로이드5.0 롤리팝에서는 정식으로 ART모드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달빅을 완전히 대체하였다[5].

리눅스 커널을 기반[6]으로 한 OS이고 Java 가상 머신을 사용하여 성능은 좀 떨어질지라도[7] 호환성 하나는 막강하여[8][9] ARM 코어 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다른 플랫폼으로도 포팅이 가능해, 스마트폰, PMP는 물론이고 태블릿 컴퓨터, TV 심지어 PC에도 포팅이 가능하다. 하지만 구글 안드로이드 인증 조건에 GPS, 카메라 등의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사실상 스마트폰이나 일부 태블릿 컴퓨터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0]이외에는 인증을 받기가 어렵다.[11] 사실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커널 이외에 다른 커널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윈도우 커널 기반으로 동작하는 Windroye(구 WindowsAndroid)가 있다.

애플의 앱스토어의 경우 개발자가 7, 애플과 카드회사가 나머지 3을 반반 나눠 갖는데, 초반에는 구글은 개발자가 7, 구글이 아니라 이동통신사가 3을 가져간다. 사실 이건 구글의 규모를 고려해도 상당한 규모의 이득을 포기해버린 경우인데,[12]이 계획의 파급 효과가 엄청났다. 이러한 정보가 나오자마자 각 나라의 점유율 1위 통신사들이 앞다투어 구글과 계약을 해 버린 것. 하지만 2012년도 이후에는 구글 플레이용 앱에 인앱결제만 허가하고 2013년 6월에는 국내 통신사가 구글플레이에서 가져가는 비율을 25~27%에서 15%로 대폭 줄이려 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라이선스는 아파치 라이선스 2.0을 사용한다. 단, 리눅스 커널을 수정한 부분에 대해서는 GPL 2.0이 적용된다. 

구글이 직접 개발에 참여하여 소프트웨어 지원 역시 전적으로 책임지는 제품은 구글 넥서스 시리즈 문서 참조.

넥서스 시리즈 이외에도 구글이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이른바 준 레퍼런스 기기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3.0 허니콤을 탑재한 갤럭시 탭 10.1과 Xoom이 있다. 하지만, 갤럭시 탭 10.1의 경우 삼성전자의 기기라는 느낌이 강한 반면, Xoom의 경우 사후지원 까지 구글이 전적으로 책임질 정도로 레퍼런스라는 느낌을 준다. 또한 2013년 들어서 이미 시장에 출시된 기기 중 구글 순정 안드로이드만 탑재하고 제조사 커스텀을 극한으로 최소화한 구글 플레이 에디션 모델들도 공개되었다. 현재까지 공개된 모델은 갤럭시 S4, ONE, 엑스페리아 Z 울트라가 있다. 다만, 제조사 커스텀이 어찌되었든 있기 때문에 구글이 서포트를 해주기는 하지만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는 각 제조사들이 책임진다고 한다.

안드로이드 L 부터는 안드로이드 원이라는 준 넥서스가 생긴다. 기존의 구글 플레이 에디션과의 차이점은 사양이 특정하게 지정되어 있으며 운영체제를 넥서스 마냥 구글에서 100% 관리한다는 것이다. 다른말로 설명하면 안드로이드 원은 윈도우폰처럼 되는 것이다. 지정된 사양내에서 제조사가 하드웨어를 자유롭게 만들고 운영체제는 구글이 책임진다.


'IT 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컴퓨터의 CPU 란??  (0) 2016.12.28
애플 - IOS  (0) 2016.12.27
스마트폰 - 스마트폰의 유래  (0) 2016.12.27
네트워크 Network  (0) 2016.12.26
정보기술 ( Information Technology) - IT  (0) 2016.12.26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