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출처 - 네어비 지식리스트 


통신분야에서는 단말기 등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기, 선로 및 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전송매체.


[해설]

원래의 뜻은 망목세공을 의미하는데 커뮤니케이션론 분야에서는 정보전달 분야에 관련되는 자 또는 시설 상호간에 형성되는 조직을 말한다. 대부분의 네트워크는 어떤 전기통신 수단의 개재를 전제로 하고 있다. 네트워크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목적에 따라 어떠한 네트워크 구성으로 하느냐가 경제성 면에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이것을 기술적으로 다루는 것이 교환기술, 전송기술, 망구성 기술이다. 예컨대 n개의 단말을 모두 직통회신으로 연결하는 방법(망형 회선망)과 그 중심에 전화국을 두고 이것과 각 단말을 연결하여 임의의 가입자 상호를 전화국에서 접속해 주는 방법(성형 회선망)을 생각하면, 전자는 비교적 단말수가 적을 때에, 후자는 비교적 단말수가 많을 때에 각각 전체적인 경제화를 도모할 수 있다.


현재 전기통신망으로서는 전화망, 디지털 데이터 교환망, 팩시밀리 통신망, 비디오텍스 통신망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개별망으로써 구축되어 왔다. 그러나 일렉트로닉스의 진보로 이것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취급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되어 INS의 구축을 위해 이러한 통신망을 통합한 디지털 통신망을 형성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응용과 전망]

최근 컴퓨터 및 통신분야에서 기술혁신이 추진되어 전기통신 수단에 의한 복수의 컴퓨터 결합이 제창되고 있다. 이 경우 컴퓨터와 단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가 효율적인 컴퓨터 이용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한 네트워크 구축기술로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발이 최근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참고용어]

전기통신: 전기, 음파, 문자, 도형 등 수취한 정보를

① 전기적 수단을 이용하여

②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③ 일정 품질로

④ 지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상대방에 전달하는 것.



시분할 다중화


복수의 데이터나 디지털화한 음성을 각각 일정한 시간 슬롯으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회선(전송 통신로)을 복수의 채널로 다중화하는 방식. 하나의 회선을 좁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다중화하는 아날로그 방식의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FDM)에 비하여, 하나의 회선을 100% 디지털의 고속 복수 채널로 분할하는 다중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TDM이라는 약어로 불린다. 1시간 슬롯으로 송신하는 정보량에 따라서 비트 다중화와 옥텟 또는 문자 다중화 등이 있다.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약어. 패킷 교환망(packet switch network)의 표준 프로토콜을 가리키는 용어. 송수신 데이터에 동일한 53바이트 길이의 셀(cell)을 사용하며, 이 셀들은 디지털 ATM 망을 통해 매우 빠른 속도로 처리가 되어 600Mbps가 넘는 속도로 전송이 가능하다.

ATM은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를 사용하는 특수한 형태의 패킷형 전달 방식으로서, 이 고정된 패킷들을 ATM 셀이라고 한다. ATM 방식은 송신측의 단말에서 수신측의 단말로 보내는 정보를 48바이트씩 분할하여 수신처 레이블 정보에 5바이트의 헤더를 붙여 53바이트의 일정 셀(cell) 단위로 정보를 보낸다. ATM은 음성, 그래픽, 데이터, 비디오 영상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폴링



컴퓨터 또는 단말 제어 장치 등에서 여러 개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차례로 송신 요구의 유무를 문의하고,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그 단말 장치에 송신을 시작하도록 명령하며, 없을 때에는 다음 단말 장치에 문의하는 전송 제어 방식. 문의 신호에 포함되는 단말 장치의 주소로 단말 장치가 지정되는데 단말 장치 쪽에서는, 예를 들면 송신 요구가 있을 때에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없을 때에는 전송 끝(EOT) 문자를 송신한다. 이 방식에서는 데이터 단말 장치가 제어국으로부터 명령을 받게 될 때까지는 데이터의 송신을 시작하지 않는다. 이 방식은 분기 방식으로 구성된 회선에 적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 센터가 시스템 내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였을 경우, 컴퓨터 등의 처리 능력에 따라 문의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택과 병행하여 사용된다.



CDMA



가능한 다중접속(Multiple Access) 방식의 하나

하나의 채널로 한 번에 한 통화밖에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아날로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디지털 방식 휴대폰의 한 방식으로, 코드분할 다중접속 또는 부호분할 다중접속이라고 한다. CDMA는 아날로그 형태인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 후 여기에 난수를 부가하여 여러 개의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 통신을 하는 것으로 휴대폰이 통화자의 채널에 고유하게 부여된 코드만을 인식한다. 통화 품질이 좋고 통신 비밀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은 주파수라는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쓸 수 있는 분량이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여러 사람이 효율적으로 함께 쓸 수 있도록 해주는 다중접속이 이동통신에서는 필수적인 기술이며, 다중접속 기술에는 FDMA, TDMA, CDMA 등의 방식이 있다. CDMA 방식은 대역확산이라는 기술을 이동통신에 적용한 것으로서 보내고자 하는 신호를 그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보다 아주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확산시켜 전송한다. 같은 공간(주파수 대역)에서 모든 사람들이 동시에 대화를 하되 서로 다른 언어(코드)로 얘기하게끔 한다고 여기면 된다. 이렇게 하면 동시에 대화할 수 있는 사람 수를 크게 늘릴 수 있다.

FDMA(주파수분할다중접속)와 비교할 때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 다중접속)는 약 3배, CDMA는 약 11배 정도의 용량증가 효과가 있다. 또 통화자가 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넘어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들어가는 통화절환(핸드오프) 시 기존의 방식들은 이전 기지국과의 연결을 끊은 후 새로운 기지국과 연결한다. 반면 CDMA에서는 소프트 핸드오프라는 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기지국과 먼저 연결시킨 뒤 기존 기지국과의 연결을 끊는다. 이에 따라 통화품질이 우수하고 통화 절단율도 훨씬 줄어 들게 된다. 또한 여러 방향에서 오는 전파들을 각각 수신해 그 세기를 더할 수 있어 수신 신호의 품질이 깨끗하다. 전력소모도 적어 배터리의 수명이 길어지고 각각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코드를 이용하므로 통신 비밀보호에 유리하다. 그리고 시스템 차원에서는 기존 방식이 주변 기지국마다 다른 주파수를 사용해야 하는 제약을 받는 반면 CDMA에서는 인접 기지국들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어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또 다른 방식인 TDMA는 주파수를 시간대별로 나눠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통화자 개인의 음성마다 코드를 부여하는 CDMA와 차이가 있으며 유럽 등지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TDMA에 비해 CDMA가 10배 이상 많은 가입자 수를 수용할 수 있다. 미국은 TDMA와 CDMA 둘 다 잠정표준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93년 11월에 당시 체신부 고시를 통해 CDMA 방식을 디지털 이동전화방식의 표준으로 공식 결정하였으며, 1996년에는 세계 최초로 CDMA 상용 서비스 제공에 성공한 바 있다.





'IT 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컴퓨터의 CPU 란??  (0) 2016.12.28
애플 - IOS  (0) 2016.12.27
안드로이드  (0) 2016.12.27
스마트폰 - 스마트폰의 유래  (0) 2016.12.27
정보기술 ( Information Technology) - IT  (0) 2016.12.26
-
-

-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리스트


초점 거리


무한대로 초점을 맞추었을 때 렌즈의 주점으로부터 초점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무한대의 광원이 투사한 빛은 수평 상태로 렌즈에 들어오게 되는데 렌즈를 통과한 빛이 모이는 초점면과 렌즈 사이의 거리가 바로 초점 거리이다. 초점면이란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를 통과하여 초점이 형성되는 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실제 촬영을 할 때 필름이 바로 이 지점에 위치하여 초점이 형성된 피사체를 기록하게 된다.

렌즈 초점 거리는 보통 밀리미터(mm)로 표시되는데 초점 거리에 따라 여러 가지 규격의 렌즈로 구분된다. 즉 8mm, 25mm, 35mm, 50mm, 75mm, 100mm, 500mm 등 다양한 초점 거리를 가진 여러 가지 렌즈가 있다. 연출자가 인물을 촬영할 때 인물의 크기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인물을 크게 포착하려면 카메라를 인물 쪽으로 더 가깝게 다가서게 하거나 초점 거리가 긴 렌즈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포착한다. 다시 말해 초점 거리가 크면 클수록 피사체를 더욱 크게 기록하게 된다. 이처럼 초점 거리와 피사체의 크기는 반드시 정비례로 변화한다. 즉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50mm 렌즈에 비교해 100mm 렌즈는 피사체를 2배로 크게 기록하며 200mm 렌즈는 4배로 피사체를 기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피사체에 기록되는 이미지 크기는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와 정확하게 반비례하는데,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가 5m일 때보다 피사체와의 거리가 10m일 때 피사체를 1/2의 크기로 재현한다. 따라서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가 5m일 때 50mm 렌즈로 촬영한 피사체의 크기와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가 10m일 때 100mm 렌즈로 촬영한 피사체의 크기는 같다. 이와 같이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더라도 초점 거리가 다른 렌즈를 사용하면 피사체를 똑같은 크기로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똑같다’는 것은 피사체의 크기일 뿐 프레임에 표현되는 이미지 전체가 복사한 것과 같이 동일하다는 말은 아니다.

실제로 서로 다른 초점 거리의 렌즈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기록하면 각각의 이미지가 현격하게 다른데 그것은 각 렌즈가 기록하는 원근감과 화각 때문이다. 긴 초점 거리를 가진 렌즈(장초점 렌즈)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확대한 경우 카메라는 피사체뿐만 아니라 배경도 같은 비율로 확대한다. 초점 거리를 두 배로 할 경우 프레임에 비치는 모든 요소가 두 배로 확대된다. 따라서 장초점 렌즈를 사용할 경우 피사체를 확대할 수는 있지만 피사체와 배경의 거리감이 상실되어 화면을 압축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같은 이유로 장초점 렌즈는 카메라가 포착하는 화각을 축소시킨다. 장초점 렌즈가 프레임 안의 모든 피사체를 일률적으로 확대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단초점 렌즈는 피사체와 카메라 간의 거리를 더 멀게 표현하여 피사체를 실제보다 더 작게 묘사한다. 또 피사체와 배경의 거리감을 더 크게 묘사하므로 화면의 원근감을 더욱 강조하는 결과를 낳는다.

표준 렌즈는 사람의 시각과 비슷한 크기로 피사체를 재현하며 화각과 원근감도 사람의 시각과 비슷하다. 35mm 필름 카메라를 기준으로 했을 때 50mm 렌즈가 표준 렌즈이며 이 렌즈보다 짧은 초점 거리를 갖는 렌즈를 단초점 렌즈 혹은 광각 렌즈라고 하고 그보다 초점 거리가 긴 렌즈를 장초점 렌즈, 협각 렌즈 혹은 망원 렌즈라고 한다. 한편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광각 렌즈와 표준 렌즈 그리고 협각 렌즈의 특성을 모두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한 렌즈이다. 예를 들어 9.5mm~95mm 규격의 줌 렌즈는 9.5mm의 광각부터 95mm의 협각까지 자유롭게 피사체를 포착할 수 있다.


망원렌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가 길고 사각(寫角)이 약 30°보다 좁은 렌즈를 말한다. 원래는 멀리 있는 물체를 사진으로 담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현재는 사진의 심도가 얕게 찍히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광학적으로는 단순히 초점거리가 긴 것을 장초점렌즈라 하고, 망원렌즈는 렌즈 전면의 정점(頂點)에서 필름면까지의 길이(렌즈의 전체길이)가 초점거리보다 짧게 구성된 경우를 가리킨다. 또한 렌즈의 전체길이와 초점거리의 비를 망원비(望遠比)라고 하는데, 이 수치가 1보다 작은 렌즈가 망원렌즈이다. 이 렌즈는 근접할 수 없는 피사체를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크게 촬영한다고 하는 단순한 목적으로 생겼으나, 라이카(Leica)의 출현, 게다가 35mm 1안(眼)리플렉스가 보급됨에 따라 일반화되었다. 그리고 초기의 단순한 목적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포트레이트(portrait)의 클로즈업으로 자연스런 묘사를 얻기 위해서나, 특히 사각이 좁은 렌즈로는 육안보다도 원근감이 없어진 느낌으로 묘사하는 성질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광각렌즈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필름의 대각선 길이와 비슷한 40~60mm 렌즈가 표준렌즈인데, 이보다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이다. 같은 거리에서 촬영해도 더 넓은 범위를 담을 수 있지만 상을 왜곡하는 효과도 커져서 원근감이 과장시키고 심도도 깊어진다.

와이드렌즈라고도 한다.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필름은 35㎜이며 이 필름의 대각선 길이는 45㎜ 정도가 된다. 초점거리가 이 대각선의 길이와 비슷한 40∼60㎜의 렌즈를 표준렌즈라고 하는데, 초점거리가 이보다 짧은 렌즈를 광각렌즈, 초점거리가 긴 것을 망원렌즈라고 한다.

광각렌즈는 같은 거리에서 촬영할 때 표준렌즈보다 더 넓은 범위를 찍을 수 있다. 곧, 같은 거리 안에서라면 24㎜ 광각렌즈일 경우는 50㎜ 표준보다 1배 정도가 더 넓게 찍히므로, 좁은 실내에서나 특수한 풍경사진, 회의장면 등 많은 사람들이 밀집된 곳에서 쓰이게 된다. 

광각렌즈는 35㎜보다 28㎜가, 그보다는 24㎜가 더 넓은 물체를 찍을 수 있고 사물을 왜곡시켜 원근감을 과장시킨다. 따라서 좁은 장소를 넓게 보이게 하거나 광대한 풍경을 1장의 화면에 담으려 할 때 등에 사용된다. 또 렌즈 가까이 있는 것은 실제의 물체보다 더 크게 찍히고, 좀 떨어져 있는 것들은 실제보다 훨씬 떨어져 있는 것처럼 작게 보이게 찍힌다.

광각렌즈는 동일한 조리개 값에서 표준렌즈나 망원렌즈보다 심도가 깊게 표현되므로 거리를 대강 맞추고 찍어도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핀트가 선명하게 맞아 스냅 촬영에 알맞다. 풍경과 같이 넓은 범위를 포착할 때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렌즈의 밀리미터(㎜)는 초점거리를 일컫는데, 작을수록 광각효과가 크며, 광각효과가 클수록 상은 많이 왜곡된다. 일반적인 광각렌즈는 28∼35㎜이며, 이보다 더 작은 것은 초광각렌즈나 어안(魚眼, fish eye)렌즈라고 한다.


카메라 : 렌즈



렌즈는 초점거리(광학 장치의 중심과 필름 사이의 길이), 조리개(렌즈의 지름과 초점거리의 비율), 화각(포착된 이미지의 넓이) 등으로 특징 지어진다.


광각렌즈

광각렌즈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로서 일반 렌즈보다 시야가 넓고 상당한 피사계 심도를 제공한다.


표준 렌즈

사람의 눈에 보이는 것과 비슷한 이미지를 만드는 렌즈.


줌 렌즈

줌 렌즈다양한 초점거리를 갖고 있는 렌즈. 렌즈를 교체하지 않고도 시야를 변경할 수 있다.


접사 렌즈

주로 작은 물체를 근접 촬영하기 위한 렌즈.


망원렌즈

망원렌즈초점거리가 긴 렌즈. 멀리 떨어진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대하지만 시야와 피사체 심도는 축소시킨다.


어안렌즈

초점거리가 매우 짧은 렌즈. 시야는 180도 이상이며 원형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준어안렌즈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 시야가 넓으며 원근법 효과를 강조한다.

'기타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 - 국제연합  (0) 2016.12.29
신천지 교회?  (0) 2016.12.29
스타워즈 스타워즈 알아보기  (0) 2016.12.28
책 읽는 방법 - 잘 읽는 방법  (0) 2016.12.27
변호사 구하기  (0) 2016.12.22
-
-

-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리스트


운동 개요


등산을 통해서 자연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산을 오르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신체와 극기 정신을 기를 수 있다. 등산은 걷기가 부족한 현대인에게 하체 강화와 심폐기능 향상, 신진대사 촉진, 각종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를 가져다준다.


운동 순서


1. 발끝의 방향만 일자가 된다고 무게중심이 옮겨지는 것이 아니므로 상체를 앞으로 구부려 줘야 한다.

2. 무게중심을 일치시키는 방법은 위로 올린 발의 발끝과 무릎, 그리고 가슴의 중앙이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몸의 자세를 이동하는 것이다. 3. 내리막에서는 무릎이 구부러지지 않게 끌어당겨 굽히고, 인체중심이 앞뒤로 쏠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다음 발을 옮겨 디딜 것을 염두에 두고 몸의 균형을 유지하며, 내리막길에서는 반드시 발부리부터 내디딘다.

3. 산행 시간은 코스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보통 오전 4시간, 오후 2시간 정도로 하루 12km 안팎이 적합하다.

4. 산행 중의 휴식은 흔히 30분 걷고 5분 휴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 간격은 사람이나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알맞게 산행과 휴식 시간 간격을 조절해야 한다. 그리고 산길의 상태도 다르기 때문에 지치지 않고 운동을 계속할 수 있는 시간은 같을 수 없다. 일단 몸이 지쳐 버린 다음에 휴식을 취하면 기력을 다시 원상태로 회복하기 어렵다. 따라서 지치기 전에 잠깐 쉬고, 다시 걷고 해야 한다.


주의사항


-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준비운동을 하여 부상을 예방한다. 

- 자신의 능력에 맞는 산행 거리와 코스를 선택해야 한다. 

- 산행 시에는 산행 2~4시간 전에 평소 식사량의 2/3 정도를 하는 것이 좋다. 

- 산행 중 술과 담배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금한다. 

- 기온차가 있으므로 여벌의 옷을 준비하여 보온에 신경 쓴다. 

- 산행 시 가슴이 답답하거나 두통, 구토,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중단하고 그 자리에서 휴식을 취한다. 

- 산행을 마친 후에는 스트레칭이나 가벼운 목욕으로 피로해진 근육을 이완시키고 체온을 높여준다.



파워 워킹


운동 개요


파워 워킹은 일반 걷기와 달리기의 단점을 보완해 만든 운동이다. 일반 워킹이 체지방 소모율이 높은 반면 운동 강도가 약해 체력이나 근력 강화에 부족하다면, 시속 6~8km로 걷는 파워 워킹은 심폐지구력을 유지시키고 달리기처럼 많은 양의 칼로리를 소모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파워 워킹을 체력 걷기(fitness walking), 건강 걷기(health walking)라고도 부른다.


운동 순서


1. 손은 계란을 쥐듯이 자연스럽게 주먹을 쥐고 가슴높이 정도까지 올라오도록 앞으로 내밀고, 손이 골반 위쪽 정도로 내려가도록 손을 뒤로 뺀다.

2. 팔꿈치는 L자 또는 V자로 굽혀서 90°를 유지하고, 팔은 앞뒤로 힘차게 흔들면서 걷고, 이때 팔꿈치가 밖으로 벌어지거나 옆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발은 뒤꿈치-수평-엄지발가락 순으로 바닥에 닿도록 하며, 보폭은 자신의 키에서 100cm를 뺀 정도가 적당하다.

4. 무릎은 곧게 편다는 느낌으로 조금만 구부리고, 양 무릎이 스치는 느낌으로 11자 모양으로 걷는다.

5. 어깨에 힘을 빼서 편안하게 팔이 움직이도록 하고, 가슴과 등은 곧게 편다. 복부를 끌어당겨서 배에 힘을 주고, 턱을 끌어당긴 자세를 유지하면서 시선은 15m 전방에 두고 내디딘 다리의 발가락 끝으로 땅을 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6. 호흡은 코로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쉬는 것이 원칙이지만, 자신의 페이스에 맞춰 편하고 자연스럽게 해도 무방하다.



주의사항


- 초보자의 경우, 파워 워킹이 체력적으로 벅차거나 숨이 차서 힘들게 느껴지면 속도를 낮춰 실시하다가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점차 운동 속도, 시간, 거리 등을 늘려가는 것이 좋다. 

- 러닝머신에서 파워 워킹을 할 경우 손잡이를 잡고 실시하면 상체근육의 사용이 반감되어 칼로리 소모 효과가 떨어진다. 러닝머신에서의 걷기가 익숙해지면 손잡이를 잡지 않고 팔을 자연스럽게 흔들며 걷도록 한다. 

- 보폭을 크게 해서 속도를 높이는 것보다 빠른 발걸음으로 속도를 높이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운동 전후 5분 이상 스트레칭을 실시해서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는 것이 부상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 세로토닌  (0) 2016.12.29
겨울철 건강관리  (0) 2016.12.28
피부미인 만들기  (0) 2016.12.27
샴푸 린스 드라이 바르게 하기 그리고 얼굴 마스크 팩  (0) 2016.12.27
달리기  (0) 2016.12.26
-

+ Recent posts